고도를 안 기다리며

내가 그나마 구체적으로 기억할 수 있는 언젠가 부터, 아마 대충 스무살이 지나고 나서부터일까? 평범하고 재미없는 내 일상조차도 항상 기다릴 무언가를 가지고 있었다. 오랜만의 술자리, 썸을 타던 사람과의 문자, 학교의 행사, 면접 결과 발표날, 이직한 회사의 첫 출근일, 속으로 맘에 들어하던 사람과의 회식 자리, 처음 나가는 독서모임, 친구들과 가는 해외 여행, 회사 동기들과의 몇년만의 만남, 퇴사 기념 파티, 신경쓰이던 사람으로부터의 갑작스러운 연락, 소개팅 약속과 애프터 신청... 내 볼품없는 달력에 하나하나 다 늘어놓기 어려울 만큼 많은, 하지만 그만큼 사소하고 일상적인 이벤트들을 촘촘하게 적어나갔다. 나는 항상 그렇게 무언가를 기다리며 하루를 보내왔다.

기다리던 순간이 실제로 찾아왔을 때 역시 행복했다고 할 수도 있었다. 하지만 대개 그런 순간들은 몇 시간 남짓이기 마련이었고, 곧 끝나버릴 쇼의 시작을 유쾌하게 맞이할 수 있는 담력이 나에게는 없었다. 마치 태어나자마자 죽어야 하는 사람이 된 것 같았다. 끝이 다가올 수록 나는 초조해졌고 우울해졌다. 그러다 쇼가 막을 내리면, 즐거웠던 장면들은 연기가 자욱한 꿈이 되어 흩어졌다. 꼭 직전의 우울이 복선이었다는 듯이.

그래서 곰곰히 생각해보면 내 행복은 언제나 거기에, 기다림에 있었다. 아무것도 가지지 못했지만 꼭 모든것을 가질 수 있을 것만 같은 희망과 함께. 내가 바래왔던 즐거움이, 막연했던 허전함의 근본적 원인이, 가장 중요한 무언가가, 그동안 몰랐던 비밀이, 모든 것을 바꿔버릴 충격적인 이벤트가, 나를 명쾌하게 만들어 줄 삶의 고귀한 의미가... 다가올 미래에 있을 거라고, 오늘보다 나은 내일이 찾아올 거라고, 나는 믿었다. 그리고 그 믿음을 가능케 했던 것은 기다림이었다.

하지만 내가 내 모든 행복을 그 '기다림'에 전부 걸어버렸다고 하더라도 그건 그저 내 사정일 뿐이었다. 기대와 좌절이 반복되면, 사람에게 속한 모든 것들 역시 (사람 그 자체가 그렇듯이)태어났다 죽어버린다는 것을 알아버렸다면, 내가 기다려왔던 것이 어떤 '좋은 것'이 아니라, 그저 죽음으로 향하는 고된 여정을 잘 버틸 수 있게 만드는 무대 장치에 불과하다는 것을 느꼈다면, 아무리 절박한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들 흔들릴 수 밖에 없지 않을까? 내가 베팅했던 '기다림'의 손실은 커져 갔지만 나는 도망칠 타이밍을 놓쳐버렸다. 아니 정확하게는 '기다림'이 아니면 어디에 베팅해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하는게 더 맞을지도 모른다. 마치 도박에 빠진 사람처럼 머릿속에는 '혹시?' '한 번 만 더?' 같은 생각이 꿈틀대기도 하지만, 사실 나도 나에게 승산이 없다는 것을 안다. 나는 파산에 다다랐고, 이제는 정말, 아무것도 기다릴만한게 남아있지 않다.

사람이 뭔가를 기다리지 않고 살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아마 곧 바닥을 박박 긁어서라도 쥐똥만한 희망을 만들어 가슴에 품고 다니겠지. 하지만 그동안 기다려왔던 고도의 얼굴이 점점 더 희미해지는 것도 사실이다. 쓰면서도 웃긴다. 본적도 없는 얼굴이 희미해진다니.

나는 창밖을 본다. 밖에는 사람들이 걸어간다. 차가 지나간다. 걸어간다, 지나간다, 걸어간다...

Subscribe to 고도를 기다리며

Sign up now to get access to the library of members-only issues.
Jamie Larson
Subscribe